김남천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4-06 18:09
본문
Download : 김남천론.hwp
물론 김남천이 직접 체험한 바를 그린 작품이기도 하다. 임화, 「문학에 대한 태도―진실과 당파성」, ꡔ동아일보ꡕ, 1933. 10. 13.
그런데 작품 「물」이 현실의 전체를 그리지도 못했고 작가의 당파성도 보이지 않는다는 점은 임화에게는 결정적인 …(skip)
순서
김남천론






설명
다. 이를 두고 임화가 비판을 가한 것이다. ……푸로문학에 있어 정치와 당파적 입장의 문제는 그것이 없이는 프롤레타리아 문학이 존재할 수 업는 때문에 기본적이고 초보적인 상식이다.
그런데 주요한 것은 작자는 현실의 전체를 그린 것이 아니고 현실의 일부분 다른 한쪽을 남겨 놓은 일 측면을 그리고 있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된다 또 이 문제와 관련하야 우리는 프롤레타리아 문학이 과연 현실을 그리는 문학이고 프롤레타리아 작가는 단순한 유물론자 리얼리스트인 것으로 만족할 것인가? 아닌가하는 문제에 대하야 반성해야할 것이다. 임화의 비판 내용은 이러하다. ꡔ조선일보ꡕ, 1933. 7. 18.
이러한 비판은 우선 작가의 문학적 실천이 사회현실의 전체적 형상화, 사회적 모순의 총체적 제시이어야 함을 염두에 두고 하는 말이다.
레포트/감상서평
김남천론 , 김남천론감상서평레포트 ,
김남천론
,감상서평,레포트
Download : 김남천론.hwp( 50 )
2. 물논쟁과 정치적 실천
작품 「물」(ꡔ대중ꡕ, 1933. 6)은 감옥 안에서 늘 부족한 물을 두고 고통받는 수인들의 모습을 그린 작품이다. 소설 「물」이 더운 여름에 감옥살이하는 사람들의 괴로움을 물, 갈증을 통해 그림으로써 훌륭한 유물론자 리얼리스트가 되었음에도 「물」에는 그것 이외에 별다른 무엇을 찾기가 곤란한 것이다. 문학은 정치적 실천행위와 그 내용상에서 직결되는 것이 아니라 형상이라는 수단으로 그 내용을 전달하는데 이때 이 형상이 사회의 본질(전체 혹은 진실)에 다다르기 위해서는 프로작가는 창작과정에 대한 의식적인 지배자일 뿐만 아니라 진리에 대한 당파성을 지녀야 함을 주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