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의 장신구를 통해 본 歷史(역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9-24 21:59
본문
Download : 고대의 장신구를 통해 본 역사.hwp
달개가 달린 귀걸이는 1호와 7호에서 각각 1쌍이 나왔는데, 1호 무덤에서 나온 귀걸이는 가는 고리에 작은 둥근모양의 중간식이 있고 그 아래에 금사슬을 꼬아서 늘어뜨리고 끝부분에 지름 6mm의 고리를 매달았다.






장신구를통해본고대사
,인문사회,레포트
설명
다.고대의 장신구를 통해 본 歷史(역사)
레포트/인문사회
순서
Download : 고대의 장신구를 통해 본 역사.hwp( 55 )
고대의 장신구를 통해 본 역사를 해석한 자료입니다.장신구를통해본고대사 , 고대의 장신구를 통해 본 역사인문사회레포트 ,
< 목 차 >
Ⅰ. 장신구
Ⅱ. 부산대학교 박물관
Ⅲ. 부산 박물관 복천분관
Ⅳ. 국립 김해 박물관
Ⅴ. 후기..
2. 귀걸이
가야의 귀걸이는 금동제품과 아울러 금제품도 많이 있다아 가는 고리귀걸이에 여러 모양이 달개를 단 형태가 대부분이며 신분이 낮은 계층에서는 달개 없이 고리만 있거나 작은 유리구슬을 달아 매어 착용하기도 하였다. 이런 모양의 귀걸이는 합천 옥전고분군과 고령 지산동 고분군에서 많이 나오는 귀걸이와 유사한 것으로 가야의 전형적인 귀걸이라고 할 수 있다아 그러나 7호 무덤에서 나온 귀걸이는 굵은 고리에 금실을 연결…(투비컨티뉴드 )
고대의 장신구를 통해 본 歷史(역사)를 해석한 자료(資料)입니다.
복천동 고분군에서 나온 귀걸이는 금제와 금동제가 있으며, 대부분 달개가 달리지 않고 작은 가는 고리만 있는 간단한 귀걸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