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제적 교수설계모형(ISD: 체제접근적 모형)에 대해 설명(說明)하시오.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8-20 03:06
본문
Download : 체제적 교수설계모형.hwp
ADDIE 모형, 요구분석, 학습과제 분석, 학습자분석, 환경분석
2. 모렌다(Molenda)가 제안한 일반모형인 ADDIE 모형
딕(Dick)과 캐리(Carey)가 주장한 심화모형인 교수설계모형, 핀(Pinn)의 수업체계모형 등으로
ⓒ 요구分析(분석)의 기법: 자원명세서 조사(학습자의 特性(특성)과 요구 조사), 사용分析(분석)(기존 프로그 램의 사용정도와 효율성 조사), 설문조사(관련 집단의 견해 조사), 구조화된 집단(명목 집단, 초점집단, 델파이 패널 집단) 등이 있다.
설명
② 학습처리해야할문제 分析(분석) · 수업分析(분석): 수업目標(목표) 分析(분석), 하위기능 分析(분석)을 통해 수업 지도를 작성한다.



순서
2. 모렌다(Molenda)가 제안한 일반모형인 ADDIE 모형
ⓑ 요구分析(분석)을 통해서 최종 수업目標(목표)가 도출되며 이는 effect적인 수업설계를 실행하기 위 한 준거가 된다.
③ 학습자 分析(분석): 출발점 행동, 지적 능력, 배경, 지능, 동기, 학습양식, 나이, 성별 등과 같은 학습자의 特性(특성)을 파악하는 것을 말한다.
체제적 교수설계모형(ISD: 체제접근적 모형)에 대해 說明(설명) 하시오.
구성하였습니다.
4. 핀(Pinn)의 수업체계모형
P.S reference을 수록하였습니다. 구체적으로 체제적 교수설계모형의 개관, 모렌다(Molenda)가 제안한 일반모형인 ADDIE 모형, 딕(Dick)과 캐리(Carey)가 주장한 심화모형인 교수설계모형, 핀(Pinn)의 수업체계모형 등으로 구성하였습니다.
체제적 교수설계모형(ISD: 체제접근적 모형)에 대해 요약, 정리(整理) 하였습니다. P.S 참고문헌을 수록하였습니다. 학습자의 어떠한 特性(특성)이 effect적인 수업을 위해 고려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것을 말한다. 이것은 수업설계를 위한 기초資料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다.
구체적으로 체제적 교수설계모형의 개관, 모렌다(Molenda)가 제안한 일반모형인 ADDIE 모형,
체제적 교수설계모형(ISD: 체제접근적 모형)에 대해 요약, 정리하였습니다.
① 요구分析(분석): 문제를 확인하는 과정, 수업설계의 선행 단계로서 현재의 상태와 원하는 상태 간의 격차를 규명 · 확인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교수설계 과정에 필요한 기자재 시설, 경비 등과 학습이 일어나는 학습장(교실, experiment(실험)실 등의 교수-학습 공간)의 매체, 시설 등을 分析(분석)하는 것을 말한다.
체제적 교수설계모형(ISD: 체제접근적 모형)에 대해 설명(說明)하시오.
3. 딕(Dick)과 캐리(Carey)가 주장한 심화모형인 교수설계모형
ⓐ 교육적인 요구는 학습자들이 도달해야 할 지식, 기술, 태도의 상태 · 기대되는 바람직 한 상태와 그러한 지식, 기술, 태도 등을 가지고 있지 않은 현재 상태 · 현재의 교육수 준의 차이로 규명된다.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④ 환경分析(분석): 수업설계과정에서 고려되어야 할 제반환경과 학습환경에 대해 파악하는 것을 말한다.
Download : 체제적 교수설계모형.hwp( 97 )
1. 체제적 교수설계모형의 개관
(1) 分析(분석)단계: 모렌다(Molenda)가 제안한 일반모형인 ADDIE 모형의 分析(분석)단계는 요구分析(분석), 학습 · 처리해야할문제分析(분석), 학습자 分析(분석), 환경分析(분석)으로 구분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