흰가루병의 생활사와 방제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9-11 18:42본문
Download : 흰가루병의 생활사와 방제법.hwp
따라서 노지재배에서는 6~7월과 9~10월에…(skip)
흰가루병
순서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흰가루병에 대해서 과수별 병원균 및 증상등을 연구했습니다.흰가루병 , 흰가루병의 생활사와 방제법생활전문레포트 ,
흰가루병의 생활사와 방제법
Download : 흰가루병의 생활사와 방제법.hwp( 79 )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흰가루병에 대해서 과수별 병원균 및 증상등을 연구했습니다.
* 병징
- 오래 전부터 알려진 병해로 주로 잎을 침해하는데 심하면 잎자루와 과실꼭지에도 발병한다. 잎의 표면에는 밀가루를 뿌린 것같이 백색의 곰팡이가 밀생하고 피해부의 조직은 변색된다 심하게 발병하면 잎의 피해부가 황화되고 고사한다. 발병부위는 주로 잎이지만 많이 발생하게 되면 잎맥, 과경 및 줄기에도 흰곰팡이가 밀생하게 된다 이 병원균은 활물기생균으로 최근에는 토마토가 주년 재배되고 있는 까닭에 분생포자의 형태만으로도 충분히 전염원이 이어져 월동 및 전염이 반복되는 것으로 보여진다. 이 병원균은 건조한 조건에서 발생이 많은데 발병적온은 20~25℃이다. 순활물기생균으로 살아있는 식물체에서만 기생생활을 한다.
설명






,생활전문,레포트
레포트/생활전문
다.
◇. 과수별로 다른 병원균
1) 병원체 Podosphaera leucotricha → 사과
2) 병원균 Erysiphe cichoracearum de Cand →토마토
3) 병원체 Erysiphe heraclei →당근
4) 병원균 Sphaerotheca fuliginea → 오이, 메론, 호박, 수박..
5) 병원체 Sphaerotheca humuli →딸기
6) 병원균 Leveillula taurica Arnaud →고추
7) 병원체 Uncinula necator →포도
8) 병원체 Phyllactinia kakicola → 감
9) 병원체 Phyllactinia pyri → 배
2) 병원균 Erysiphe cichoracearum de Cand →토마토
: 진균계의 자낭균문에 속하며, 자낭포자와 분생포자를 형성한다. 분생포자는 흡기를 조직내에 삽입하여 양분을 흡수하며 균체가 조직속에서 번식 생활한다.
* 발생생태
- 토마토에서는 주년재배가 되고 있기 때문에 전염은 병반에서 형성된 분생포자에 의하여 전염된다 주로 시설에서는 고온과 건조가 겹치면 발생이 심하므로 특히, 유리온실 재배에서는 크게 신경을 써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