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서연구-노아 세 아들의 연령별 순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9-11 05:25본문
Download : 성서연구-노아 세 아들의 연령별 순서_87808.hwp
3.타당성 문제
이 문장을 통하여 우리는 세 가지 가능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첫째, 노아가 오백 세 되던 해에 세 쌍둥이가 태어났다. 따라서 개역과 표준새번역 둘 다 타당성이 있다고 본다. 둘째, 이들 세 아들이 노아가 오백 세 되기까지 次例대로 태어났다.



Download : 성서연구-노아 세 아들의 연령별 순서_87808.hwp( 21 )
순서
기독교성서번역노아
,기타,레포트
레포트/기타
설명
역시 이를 같은 뜻의 `노아는 오백살이 지나서 셈과 함과 야벳을 낳았다`로 번역하고 있다 창세기 5장 32절의 히브리어 원문을 직역하면, `노아가 오백 세가 되었다. 셈은 에벨의 모든 자손의 조상이다`라고 번역함으로써, 둘 다 일치함을 알 수 있다 이들 번역문은 과연 히브리어 원문의 의도를 그대로 반영하는 것일까? 여기서 `야벳의 형`이라고 번역된 문제의 구절을 원문 및 고대 번역문인 칠십인역을 통하여 살펴보기로 하자. 이 두 가지…(투비컨티뉴드 )
기독교성서번역노아 , 성서연구-노아 세 아들의 연령별 순서기타레포트 ,
성서연구-노아 세 아들의 연령별 순서
다. 우선 우리말 번역부터 살펴보기로 하자. 개역은 이를 `셈은 에벨 온 자손의 조상이요 야벳의 형이라. 그에게도 자녀가 출생하였으니`라고 번역하였고, 표준새번역은 `야벳의 형인 셈에게서도 아들딸이 태어났다.
4.창세기 구절
다음으로 고찰해야 하는 구절은 창세기 10장 21절이다. 셋째, 노아가 오백 세 되던 해 첫 아들이 태어났고 그 다음에 次例대로 다른 두 아들도 태어났다. 히브리어 어법 상 앞의 두 가지보다는 세 번째 것이 가장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그는 셈과 함과 야벳을 낳았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