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국문] 플라톤-이데아의 이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3-17 12:16본문
Download : 플라톤[1].hwp
그러나 이 제한된 형태의 아름다움을 발견한 후에 우리는 곧 한 형태의 아름다움은 다른 것과 유사하다는 사실을 체득하게 되며 따라서 우리는 한 특정한 물체의 아름다움으로부터 `모든 형태의 아름다움이 전적으로 동일하다`는 사실을 인식하게 된다 미(美)의 모든 양태들은 어떤 유사성을 갖는다는 이러한 발견의 결과로 아름다운 대상에 대한 인간의 집착은 완화되면서 아름다운 물질적 대상으로부터 미의 definition 에로 옮겨가게 된다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순서
[국어국문] 플라톤-이데아의 이해
다. 「향연」에서 플라톤은 우리는 무엇보다도 어떤 특정한 대상이나 인물을 통해 아름다움을 파악한다고 주장한다. 우리는 아름다움의 이데아를 알고 있기 때문에, 또한 인간은 많든 적든 그 이데아를 분유(分有)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기 때문에 어떤 사람에 대해 그가 아름답다고 말할 수 있는 것이다.
Download : 플라톤[1].hwp( 35 )
설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