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 사회복지사업의 정체성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3-27 00:40
본문
Download : 교회 사회복지사업의 정체성.hwp
이상에서 살펴본 한국교회의 社會福祉士업의 방향과 사회선교를 위한 실천assignment를 좀더 구체적으로 현실화하기 위해서 하나님의 선교로서 교회사회봉사의 신학적 근거를 살펴보도록 하겠다.
순서






교회의 선교사명과 교회 사회복지사업의 방향을 점검해 보고, 한국교회의 사회선교를 위한 실천 과제와 교회사회봉사의 신학적 근거를 살펴봄으로써 교회사회복지사업의 정체성을 찾아보고, 교회사회봉사에 대한 사회복지적 이해와 사회봉사의 과제와 실천방법도 함께 살펴봤습니다. , 교회 사회복지사업의 정체성인문사회레포트 ,
레포트/인문사회
다.
3. 교회사회봉사의 신학적 근거
기독교적인 봉사(디아코니아)라는 말은 그리스도의 말씀과 정신에 따라서 이웃과 사회를 위 해 하는 봉사를 말한다. 그리고 그에 따라 국가적 혹은 지역 사회적 차원의 사회선교 assignment를 설정하고 이를 재정적으로 후원하고 평신도 자원봉사자 훈련 등을 통해 인적 물적 자원을 재조직화해야 할 것이다. 이런 점에서 봉사의 근원이 되는 최초의 봉사자는 예수그리스도라 할 수 있따 그렇기 때문에 그리스도의 봉사 정신과 실천을 따라 행하고 있는 활동과 사업들을 기독교사회봉사라 할 수 있따
이삼열 교수는 기독교사회봉사는 복음 전파와 복음의 실천, 사회선교와 봉사, 사회 구호적 봉 사와 사회구조적 봉사, 사회사업적 봉사와 사회 선교적 봉사 등을 모두 포괄한다고 말하면서 다 음과 같이 신학적 근거를 제시하고 있따
1) 복음전파(전도)와 복음의 실천(봉사)
기독교인들은 예수님께서 봉사자로 살았으며, 봉사의 교…(skip)
Download : 교회 사회복지사업의 정체성.hwp( 94 )
교회 사회복지사업의 정체성
설명
,인문사회,레포트
교회의 선교사명과 교회 사회복지사업의 방향을 점검해 보고, 한국교회의 사회선교를 위한 실천 처리해야할문제와 교회사회봉사의 신학적 근거를 살펴봄으로써 교회사회복지사업의 정체성을 찾아보고, 교회사회봉사에 대한 사회복지적 이해와 사회봉사의 처리해야할문제와 실천방법도 함께 살펴봤습니다.
이상과 같이 교회가 사회선교의 실천을 위해서는 먼저 교회관과 선교관을 재정립해 성장제일주의에서 이웃과 함께 하며, 이웃을 섬기는 교회가 되어야겠다는 발상의 전환을 해야 한다. 다시 말하면 그리스도의 가르침에 근거해서 한다는 동기가 부여된 것 을 봉사라고 한다. 그래서 교회의 시설은 지history(역사) 회 선교 호로그램을 위해서 활용하고, 평신도 인력을 사랑의 실천에 참여할 수 있는 자원봉사자로 훈련시켜 하나님의 선교를 위 한 동역자로 키워가야 할 것이다.
그리고 또한 교회의 재정을 일시적 전도 목적을 위한 자선활동에 소모하지 말고 지속적인 봉사와 지history(역사) 회 선교를 위해서 사용함으로써 나눔과 사랑의 공동체로서의 교회의 역할을 다해야 할 것이다. Ⅰ. 들어가면서 : 한국교회의 사회봉사의 실태과 문제
1. 교회의 선교사명과 교회 社會福祉士업의 방향
2. 한국교회의 사회선교를 위만 실천 assignment
3. 교회사회봉사의 신학적 근거
1) 복음전파(전도)와 복음의 실천(봉사)
2) 사회선교와 봉사
3) 사회구호적 봉사와 사회구조적 봉사
4) 사회사업적 봉사와 사회 선교적 봉사
5) 하나님의 선교와 교회의 선교
6) 통전적 선교관과 교회의 사회봉사신학
7) `생명·사랑·섬김` 신학과 교회의 사회봉사
4. 교회사회봉사에 대한 사회복지적 이해(박종삼)
1) 사회복지의 이념과 기독교 사회봉사신학
2) 사회복지, 사회보장, 사회insurance, 공적부조, 사회복지서비스 등 전체 사회복지체계에 대한 기독교적 이해
3) 사회복지안展望(전망) 과 교회의 생명신학
4) 교회의 자원봉사자 훈련과 배치
5. 사회봉사의 assignment와 실천방법
1) 치유활동을 통한 봉사
2) 복지사업을 통한 봉사
3) 사회상담을 통한 봉사
4) 사회교육을 통한 봉사
5) 사회발전을 통한 봉사
Ⅱ. 맺으면서
선교 호로그램들을 설정해야 하며, 그에 따라 교회는 물적, 인적 자원들을 그러한 일들을 위해 조직화하고 동원해 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