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화호 사람들은 어떻게 되었을까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2-17 08:05
본문
Download : 시화호 사람들은 어떻게 되었을까.hwp
이들은 적절한 보상을 받지 못하고 생계의 터전을 빼앗겼을 뿐만 아니라, 상당한 액수의 보상금을 받았던 경우조차 새로운 생계방식으로 전환하는데 실패하였다.
설명
Download : 시화호 사람들은 어떻게 되었을까.hwp( 96 )
어도와 형도는 각기 행정구역상으로 화성군 송산면 고포4리에 속하고 독지3리에 속한다. 그러나 형도의 경우는 마을의 역싸가 오래되지 않고 인구 구성의 특성(特性)상 친족을 중심으로 하는 조직도 없다보니 어촌계 이외에는 마을에 중심적 조직이 없는 상태였다.
형도는 보상금액이 어도보다 적었고 또 한꺼번에 받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돈 활용의 경험이 없었다.시화호사람들은어떻게 , 시화호 사람들은 어떻게 되었을까법학행정레포트 ,
다. 반면 형도의 경우는 1950년대 중반이후부터 피난민들이 이주하면서 거주하기 처음 하였다.시화호사람들은어떻게
레포트/법학행정
시화호 사람들은 어떻게 되었을까
순서





,법학행정,레포트
시화호 사람들은 어떻게 되었을까에 대한 글입니다. 또한 공부를 마치고 도시에 자리잡고 있는 자손들이 많이 있었다는 점도 보상금을 주로 주택을 구입하는데 사용하게 한 Cause 으로 판단된다된다. 이는 보상금 액수와도 관련이 있지만 어도의 경우 이전부터 재산이 있는 집은 외지에 땅이나 집을 매입하곤 했으므로 보상 당시 이미 부동산 투자의 경험이 있었다는 것과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어도의 경우 전주이씨가 정착하여 살기 처음 하였고 지금도 대부분 그들의 후손이다. 따라서 어도의 경우 마을 공동회의에서 중요한 사항을 결정하였으며 어촌계역시 활발히 활동을 하였다. 어도는 형도보다 보상액이 커서 보상금을 가지고 부동산을 매입한 事例가 많다. 부동산을 매입한 경우는 거의 없고 주식이나 保險 등 금융상품에 투자하여 손실을 …(省略)
시화호 사람들은 어떻게 되었을까에 대한 글입니다. 보상금에 대한 reaction response은 부동산을 구입했건 장사를 했건, 당시에 구입한 부동산이 이제는 재산 가치가 없고 장사에도 실패했으므로 지금은 그 돈이 남아 있지도 않고 따라서 생계대책이 막연하다는 것이다.
또한 어도와 형도 섬 주민들은 인근 다른 지역에 비해 어업이 생계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컸던 반면, 외부 세계와의 사회적 관계는 상대적으로 적었던 지역의 사람들이다.
시화호 조성사업 시행 후의 사회경제적 change(변화)
보상금의 지급과 사용에서는 어도 주민들에 따르면 보상금 대부분을 부동산 투자와 자녀의 교육비에 썼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