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도 방언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9-14 16:22
본문
Download : 전라도 방언.hwp
다. 이것들이 쓰이지 않고는 청자대우서법을 완전하게 나타낼 수 없기 때문일것이다 또 [-라우,-요.-이다]는 어미[-우]와 함께 전남방언권을 하위 구분하는데 크게 작용하고 있다아 [-라우, -요, -이다]가 쓰이고 있는 지역은 다음과 같다
[-이다/다] : 광양, 여수, 여천, 구례일부
[-요] : 순천, 승주 동북부
[-라우(-우)] : 그 밖의 전지역
[-이다]는 전남과 경남의 등어선지대에 주로 분포되어 있고 서주열은(1981) [-이다/다]의 분포지역으로 전남 경남의 등어선지대와 해안선일대인 광양, 여천(전남),하동, 사천, 고성, 통영, 거제,창원, 김해, 부산(경상도)을 들고 있다아 [-라우]는 전남 서북부에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는데 [-라우]가 쓰인 곳에 어미[-우]가 쓰이고 있다아
ㄱ. 해필 지비가 이걸 했능가라우? (하필 당신이 이걸 했는가요?)
ㄴ. 해필 지비가 이걸 했능가이다?
ㄷ. 해필 지비가 이걸 했능가요?
위의 ㄱ. ㄴ. ㄷ. 은 같은 뜻을 가진 말인데 지역에 따라 다르게 쓰인 것이다. 구례군은 [-라우, -요, -이다]가 쓰인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이것은 군 전체를 한 권역으로 보았을 때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기타,레포트
순서
전라도방언
전라도 방언의 특징에 대해서 설명했습니다. 다만 구례군에서도 경상도와 접경지역인 토지면 일대에서 [-이다]의 변형인 [-다]가 가끔 쓰이고 있으나 전반적으로 [-라…(drop)
Download : 전라도 방언.hwp( 83 )
전라도 방언
레포트/기타
설명
전라도 방언의 특징에 대해서 說明(설명) 했습니다. 한 지역에서 ㄱ 과 ㄴ을 혼용하거나 ㄷ을 쓰는 지역에서 ㄱ이나 ㄴ을 혼용하지는 않는다. 이것들 중 [-이]는 다른 방언에서도 찾을 수 있으나 다른 것들은 서남방언권과 그 인접지역에서만 쓰인 것들이다. 전라도방언 , 전라도 방언기타레포트 ,






전남방언의 특이한 어미와 대우법소
전남방언에서 종결어미로 표지되는 대우법은 중앙어에 비해 대차가 없으나 어미 [-이]와 [-우],조사 [-라우]와 [-이다], 존대소 [-게-]등은 상당히 특이한 어형이다. 김웅배(1991)전라남도방언연구 방언에 따라 [-요.-유.-이다]가 대우서법에 미친 effect은 지대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