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치전환에 관에 쟁점논의 - 배치전환에 관한 쟁점 논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9-12 15:02
본문
Download : 배치전환에관한쟁점논의.hwp
3. 판례
“전직이나 전보는 사용자의 권한에 속하여 업무상 필요한 범위 내에서는 상당한 재량을 인정해야 하고, 다만 이것이 근로기준법의 위반이나 권리남용에 해당하지 않는 한 당연무효라고 볼 수 없다”고 하여, 경영권설 내지 포괄적 합의설의 태도를 취하고 있다
4. 검토
배치전환은 근로자에게 중요한 근로조건의 변경에 해당되므로 근로기준법상의 정당한 사유가…(skip)
다.
(2) 경영권설
사용자는 자신의 경영권을 바탕으로 인사권을 행사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인사권 행사를 재량사항으로 보고 있다
(3) 계약설
배치전환명령은 “근로계약상 합의된 범위”에서 법적 구속력을 가지며, 합의된 범위를 벗어난 배치전환은 계약내용의 변경에 해당되므로 근로자의 동의가 필요하다고 한다.
2. 배치전환의 기능
종래에는 인력의 적재적소의 배치 기능을 하던 배치전환이 기업활동규모의 확대와 더불어 고용조정을 위한 efficacy적인 수단으로 활용되면서 최근 근로계약법상 중요한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3. 논의의 피료썽
현실에서의 배치전환은 징계의 수단이나 구조조정이 방편으로 우회적으로 활용되면서 근로자들이 불응을 하는 경우가 많아 이에 대한 사용자의 인사권의 한계와 제한문제를 해결할 피료썽이 있다
Ⅱ. 배치전환의 법적근거
1. 문제 소재
근로자의 취업장소와 종사하여야 할 업무의 내용은 근로계약 체결시에 사용자가 명시하여야 하나, 근로계약에서 구체적으로 근로의 내용오가 근무장소를 특정한 바가 없는 경우가 문제 되고 있다
2. 학설
(1) 포괄적 합의설
근로자는 자신의 노동력을 사용자의 지휘, 관리권한에 속하게 하는 포괄적 합의를 근로계약을 통하여 합의를 하게 되며, 사용자는 이에 근거하여 인사권을 행사한다고 한다.
배치전환에 관에 쟁점논의
배치전환에 관에 쟁점논의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배치전환에 관에 쟁점논의 - 배치전환에 관한 쟁점 논의
Download : 배치전환에관한쟁점논의.hwp( 40 )
배치전환에 관한 쟁점 논의
Ⅰ. 서
1. 배치전환의 의의
배치전환이라 함은 근로자의 직무내용 또는 근무 장소가 상당히 장기간에 걸쳐 변경되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배치전환 대신 전직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 배치전환에 관에 쟁점논의 - 배치전환에 관한 쟁점 논의법학행정레포트 , 배치전환 관 쟁점논
설명
배치전환,관,쟁점논,법학행정,레포트
레포트/법학행정
순서



- make preview 를 참고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