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0년대의 친일세력과 친일파들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2-18 08:24
본문
Download : 1900년대의 친일세력과 친일파들.hwp
1900년대의 친일세력과 친일파들
,경영경제,레포트
Download : 1900년대의 친일세력과 친일파들.hwp( 58 )
up1900년대의친일세력과친일파들






설명
순서
1900년대의 친일세력과 친일파들up1900년대의친일세력과친일파들 , 1900년대의 친일세력과 친일파들경영경제레포트 ,
1900년대의 친일세력과 친일파들
레포트/경영경제
(1) 이완용
(2) 친일파 관련 참고 data(資料)1 : 일진회
(3) 친일파 관련 참고 data(資料)2 : 을사조약에 찬성한 사람들
(4) 친일파 관련 data(資料)3 송병준(1858 - 1925)
(5) 친일파 관련 data(資料)4 : 이근택
(6) 친일파 관련 data(資料)5 : 이인직
(7) 친일파 관련 data(資料)6 : 이지용
(8) 친일파 관련 data(資料)7 : 일한 병합 청원서를 낸 이용구
(9) 친일파 관련 data(資料) 8 : 합방 뒤 일본으로부터 귀족 칭호를 받은 사람들
대다수의 한국인들이 일제의 침략에 저항하는 가운데 일부 반민족적인 친일 세력이 등장하여 매국 행위에 앞장섰다. 과거 동학 농민군 지도자 가운데 한 사람이었던 이용구도 러일 전쟁 직후 일본에서 귀국하여 지방 각처에 동학 교도들을 조직인 진보회를 만들었다. 이들은 후일 합병 이후 일본의 작위를 받아 그들의 귀족 계급에 편입되었다. 이 때 이들의 요구에 부응하여 일진회를 만들고 움직여간 인물들은 송병준과 이용구였다. 이들은 가운데는 government 에 기생하고 있던 친일 관료들과, 지식인층에 속하는 일부 타락 분자들이 조직한 일진회와 같은 친일 단체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하층 민중들 속에서 헌병과 경찰의 보조원이 되는 경우도 있었다.
한편 일제는 침략 과정에서 친일 관료들과 함께 민간 친일 단체의 후원과 육성에도 많은 힘을 썼다. 당시 왕족과 관료들 가운데서 일본에 의해 작위를 부여받은 사람은 모두 68명이었다.
러일 전쟁을 계기로 우리 나라에 대한 일본의 발언권이 강화되면서, government 관리들은 대부분 친일적인 경향을 띠고 있었는데, 이들은 일제가 우리의 국권을 강탈하는 과정에서 필요할 때마다 불러내서 합법성을 인증해주는 역할을 맡았다. 1904년 일본의 주선으로 일본에서 돌아온 송병준은 구 독립 협회 계열의 타락한 지식 분자들을 규합하여 유신회를 만들고 곧이어 일진회라 이름을 바꾸었다. ② 러…(drop)
다. 일본군의 지원을 받고 있던 송병준과, 대중적 지반을 어느 정도 가지고 있던 이용구의 결합으로 탄생한 일진회는 ① 러일 전쟁은 일본이 한국을 보호하기 위해 일으킨 전쟁이니 적극 협력해야 한다는 여론을 조성하고, 수많은 회원을 동운하여 이를 지원하였다. 특히 국권 강탈과 가장 밀접한 관련을 지니는 을사조약과 정미조약 당시 이 조약을 체결해준 government 의 관료들은 당시 친일 관료들의 대표격으로 5적, 또는 7적으로 불리기도 했다. 이들은 식민 통치가 굳어진 상태에서 불가피하게 강요되었다가 보다는 주로 개인의 출세와 이익 추구에서 처음 된 행위라는 점에서 더욱 준열한 비판을 받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