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가작품지도론 - 고려 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6-17 07:37
본문
Download : 시가작품지도론 - 고려 속요와 경기체.hwp
이는 민요에서 형성된 것으로 추측되는데, 그 운율이 무척 아름답고 표현이 소작하면서도 세련되어 있따 속요는 여요(麗謠) 또는 장가(長歌)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하는데, 민요에서 형성되었기 때문에 운율이 무척 아름답고 표현이 소박하면서도 진솔하며, 오랜 시일 전송되는 동안 첨삭되는 과정을 거쳐 세련미까지 갖추게 되었다. 하지만 한국적 운율과 정제된 형식미를 갖추고 향가 이후 우리 정서를 표현할 새로운 시형을 모색했다는 점에서, 고려시대의 민중들의 삶을 형상화한 고려속요와 함께 상층의 시가의식의 산물로서 그 의의를 인정받는다.
.
1) 고려속요의 concept(개념)과 장르적 성격
시가작품지도론 - 고려 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
다. 고려 속요는 고려 시대 평민들이 부르던 민요적 시가를 이른다. 간단히 말하면 “민요 가운데 속악가사로 개편된 고려시대의 국문 서정시가” 라고 정의(定義)할 수 있따 이것으로 미루어 보아 속요는 민요와 깊은 발생론적 관련을 맺되 결코 민요와는 일정한 거리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따 개편의 정도에 따라 거리는 작품마다 다르게 나타나지만 일단 속악가사로 개작되고 윤색된 것이니 만큼 민요의 순수성을 어느 정도 혹은 현저하게 상실하고 그 대신 궁중의 호화스러운 분위기, 고상함과 장엄함, 태평의 추구 등으로 변질되거나 의미의 전환으로 나타나게 됨을 쉽게 짐작할 수 있따 다시 한 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순서
시가작품지도론 - 고려 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
Download : 시가작품지도론 - 고려 속요와 경기체.hwp( 57 )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시가작품지도론 - 고려 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
시가작품지도론 - 고려 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
설명
.
Ⅰ.고려속요
시가작품지도론 - 고려 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 시가작품지도론 - 고려 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
시가작품지도론 - 고려 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
본론
속요란 <악학궤범>, <시용향악보>, <악장가사> 등의 가집에 작품이 현전하는 민요 계통의 궁중무악 또는 연악과 고려사 악지 속악 조에 노래의 title(제목)과 유례가 전하는 민요 계통의 실전 속악가사 등을 속요의 자료를 근거로 고려시대의 노래 가운데 경기체가를 제외한 우리말로 된 서정가요를 가리키는 명칭이다. 속요가 원래는 민요이던 것을 궁중의 속악 가





.
고려가요란, 고려 속요와 경기체가를 가리키는 말이다. 당시의 사회상이 반영되어 있으며 평민들의 진솔한 감정이 잘 표현되어 있따 경기체가는 귀족문학이었기 때문에 신흥 사대부들이 자신들의 득의에 찬 기상을 드러내고자 창작한 것으로 ‘위 ~경 긔엇더니잇고’ 라는 설의적 표현을 통하여 그들의 삶과 풍류를 자랑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속요와의 차이점을 찾을 수 있따 즉, 이런 점 때문에 대다수의 서민이 듣고 창작하기에는 거북했기에 그 향유층이 적었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따 또한 정서적 표현을 삽입할 수 없는 노래였기 때문에 속요에 비해 생명력이 짧을 수 밖에 없었다. 이어서 이렇게 같은 고려가요라는 장르 안에 속해 있으면서도 단면적인 차이를 보이는 두 장르에 대해 좀 더 세부적으로 살펴보고, 그를 바탕으로 두 장르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해 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