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봉제실시와 감급제도 및 연봉액의 사후적감액가능성에 대하여 - 연봉제 실시와 감급제도 및 연봉액의 사후적 감액 가능성에 대한 …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9-27 02:55
본문
Download : 연봉제실시와감급제도및연봉액의사후적감액가능성에대하여.hwp
연봉제 실시와 감급제도 및 연봉액의 사후적 감액 가능성에 대한 법적 검토
Ⅰ. 근로기준법상 감급제도의 내용
감급에 상대하여는 근로기준법 제98조에서 ‘취업규칙에서 근로자에 대하여 감급의 제재를 정할 경우에는 그 감액은 1회의 액이 mean(평균)임금의 1일분의 2분의 1을, 총액이 1임금지급기에 있어서의 임금총액의 10분의 1을 초과하지 못한다’고 규정하고 있따 이 규정에서 말하는 감급이란 노무수행상의 태만이나 직장규율 위반에 대한 제재로서 본래 그 근로자가 현실로 행한 노무제공에 대응해서 받아야 할 임금액에서 일정액을 공제하는 것을 말한다.순서
Download : 연봉제실시와감급제도및연봉액의사후적감액가능성에대하여.hwp( 56 )
설명
연봉제실시와 감급제도 및 연봉액의 사후적감액가능성에 대하여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1회의 비행사실로 인하여 징계를 받게 되는 경우의 감급은 우선 1회의 액이 mean(평균)임금의 1일분의 2분의 1을 초과하지 못한다. , 연봉제실시와 감급제도 및 연봉액의 사후적감액가능성에 대하여 - 연봉제 실시와 감급제도 및 연봉액의 사후적 감액 가능성에 대한 법적 검토인문사회레포트 , 연봉제실시와 감급제도 연봉액 사후적감액가능성 대하여
- 먼저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만약 이를 초과해서 감급제재를 행할 필요가 생긴 경우에는 그 부분의 감급은 차기 임금지급기로 연기하지 않으면 안 된다 1)근로 기준법의 제한에 위반하는 취업규칙이나 단체협약의 규정은 그 자체가 무효이다.3)
Ⅱ. 감급의 제재
감급의 제재에 해당하는가에 대하여 약간의 문제를 검토하면 첫째, 지각?조퇴?결근에 대한 공제가 실제로 근로를 하지 …(생략(省略))




연봉제실시와,감급제도,연봉액,사후적감액가능성,대하여,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연봉제실시와 감급제도 및 연봉액의 사후적감액가능성에 대하여
연봉제실시와 감급제도 및 연봉액의 사후적감액가능성에 대하여 - 연봉제 실시와 감급제도 및 연봉액의 사후적 감액 가능성에 대한 법적 검토
다. 이것은 1회의 사안에 상대하여는 감급 총액이 mean(평균)임금의 1일분의 반액 이내가 아니면 안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1회의 사안에 대해 mean(평균)임금의 2분의 1을 몇회(몇일)에 걸쳐서 감급해도 된다는 뜻은 아닐것이다. .
근로자가 1임금지급기에 있어서 수회의 비행사실로 인하여 징계를 받는 경우 감급은 총액이 1임금지급기에 있어서의 임금총액의 10분의 1을 초과하지 못한다. 상여금의 제재기준을 단체협약 등에 규정하여 차등지급함은 근로기준법 제98조에 저촉된다고 볼 수 없다는 견해2)가 있으나 감봉징계의 한계는 근로기준법상의 임금이면 본봉이나 상여금을 불문하고 근로기준법 제98조의 감액의 한계를 초과할 수 없다. 이것은 1임금지급기에 수 개 사안에 대한 감급을 하는 경우에는 그 총액이 당해 임금지급기에서의 임금총액의 10분의 1이내가 아니면 안 된다는 의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