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은 선한가, 악한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9-20 05:36
본문
Download : 인간은 선한가, 악한가.hwp
.
Download : 인간은 선한가, 악한가.hwp( 43 )
다. 우리의 본성에 관한 철학적 전제들이 인간의 활동에 관심을 두는 학문들의 뿌리가 되기 때문에, 다른 학문적 관점에서 인간 본성에 관한 저작을 했던 사상가도 있음은 그리 놀라운 일이 아닐것이다. 우리가 어떤 사회에 속하든 그리고 어떤 文化(culture) 권에서 성장하였든, 가장 중요한 사실은 우리가 인간이라는 점이다. . 로저 트리그 『인간 본성에 관한 10가지 철학적 성찰』(자작나무,1996)
인간은 선한가, 악한가 인간은 선한가, 악한가 인간은 선한가, 악한가 인간은 선한가, 악한가 인간은 선한가, 악한가 인간은 선한가, 악한가
인간은 선한가, 악한가
인간의 다양한 본성 가운데 어느 것을 더 중시하고 강조하느냐에 따라 인간관에 차이가 있게 되는데 황의동『유교와 현대의 대화』 (예문서원, 2002) p,69
.
.
인간이 동물과 다른 도덕성을 타고난다는 성선설의 맹자, 인간은 자연본능성에 의해 악하지만 예로 인해 사회를 바로잡을 수 있다는 성악설의 순자, 인간은 타인의 결함을 보고 웃는 이기적 존재라고 생각한 홉스, 인간은 이성보다는 감정에 지배된다는 흄, 인간은 생존경쟁에서 우연히 살아남은 호모 사피엔스라는 진화론적 측면의 다윈, 인간은 이성적 동물이라는 아리스토텔레스, 인간은 사회에 의해서 만들어진다는 마르크스, 인간은 동물과 초인 사이에 놓인 밧줄이라고 생각하는 니체, 아버지를 죽이고 어머니와 결혼한 오이디푸스의 후예, 즉 인간을 성적본능이 지배하는 존재로 생각한 프로이트, 인간본성이 언어에 의해 창조된다는
내가 인간은 천사보다 낮은 등급의 존재로 생각하면서 현실 생활을 초월해서 살고자 한다면, 나는 호모 사피엔스라는 종을 그 나름의 진화론적 歷史(역사)를 통해서만 특징 지워지는 여러 동물의 종들 가운데 한 종에 불과하다고 생각하는 사람과 다른 견해를 갖게 될 것이다. 정의상 인간본성은 우리 모두가 공유하는 그 무엇으로서, 그에 관한 논쟁은 모든 사람과 연관되기 때문일 것이다. 우리는 다른 인종과 다른 문명을 넘어선 공통점과 근본적인 유사성이 있다 인간이 항상 변동하는 과정 중에 있고 비록 개개인의 개성이 모두 다르다 하더라도 역시 우리는 동일한 충동을 공유하며, 우리 본성이 구조도 동일하다.





인간은 선한가, 악한가
인간이 어떠한 존재이며 인간의 본성, 본질이 무엇인가에 관한 논의는 동서양의 철학사에서 끊임없이 다루어 온 주제이다.
인간은 선한가, 악한가
인간은 선한가, 악한가
인간은 선한가, 악한가
인간은 선한가, 악한가
인간은 선한가, 악한가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설명
순서
인간은 선한가, 악한가
인간은 선한가, 악한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인간을 연구 또는 교육의 대상으로 삼는 모든 사람들(예컨대 철학가, 종교가, 교육가, 정치가, 사회학자, 심리학자, 생물학자 등)은 인간의 심성문제에 대하여 흥미를 갖지 않은 사람이 없다. 아주 먼 옛날, 아주 다른 환경 속에서 씌어진 저작과 희곡들(셰익스피어의 작품과 같은)인데도 여전히 인간이 어떤 곤경에 처하는 것을 생생하게 다루고 있고, 이것이 독자들에게 호소력을 지닐 수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