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모곡 - 원문 및 어구해석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8-30 19:43
본문
Download : 사모곡 - 원문 및 어구해석.hwp
아바님도 어이어신마
.
사모곡 - 원문 및 어구해석
어마님티 괴시리 어라
아소 님하
아소 님하
Download : 사모곡 - 원문 및 어구해석.hwp( 90 )
사모곡 - 원문 및 어구해석
思母曲
설명
어마님티 괴시리 업세라
위 덩더둥셩
사모곡 - 원문 및 어구해석
아소 님하
어마님티 괴시리 업세라
思母曲
사모곡 - 원문 및 어구해석
사모곡 - 원문 및 어구해석
어마님티 괴시리 업세라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아바님도 어어신마
낟티 들 리도 업스니이다
사모곡 - 원문 및 어구해석
사모곡 - 원문 및 어구해석 사모곡 - 원문 및 어구해석 사모곡 - 원문 및 어구해석 사모곡 - 원문 및 어구해석
2. 본론
호도 히언마
.
호도 히언마
어마님티 괴시리 업세라
思母曲 俗稱 엇노리
어마님티 괴시리 어라
위 덩더둥셩
《악장가사》
낟티 들 리도 업스니이다
호도 히어신마
사모곡 - 원문 및 어구해석
순서
偉 덩더둥셩
1. 원문 및 어구해석
아바님도 어이어신마
<사모곡>은 작자미상 연대미상의 작품으로 어머니의 사랑을 기린 노래라 할 수 있다아 작품의 주제나 짜임, 내용 전개에서 어려울 것이 없는 이 노래는 headline(제목) 그대로 어머니의 사랑에 대한 간절함이 주조를 이루고 있다아 화자는 호미와 낫의 날을 각각 아버지와 어머니의 사랑에 비유하여 어머니의 사랑이 아버지보다 훨씬 자애롭고 깊음을 드러냈다.
《악학편고》
낟티 들 리도 어섀라
.
1.1. 원문
<사모곡>은 《악장가사》와 《악학편고》에 가사가 기록되어 전하고 있으며, 《시용향악보》와 《금합자보》에는 악보와 노랫말이 함께 기록되어 전하고 있으나 작자와 제작연대는 확실히 알 수 없다. 본고에서는 작품의 원문을 토대로 형식상의 特性과 주제 및 가사부전가요 <목주가>와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시용향악보》 역시 속칭 <엇노리>라 하여 기록되어 있는데, 표기면에서 다소 차이가 있을 뿐 형식이나 내용이 《악장가사》와 거의 일치한다. 농기구에의 비유는 작품에 소박한 느낌을 불러일으킬 뿐만 아니라 작자의 신분이 일반적인 농민 계층의 서민임을 암시해준다. 이 작품은 전형적인 농촌민요로서 효(孝)를 주제로 내세웠기 때문에 쉽게 궁중악에 편입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노랫말은 《악학편고》에 ‘위덩더둥셩’의 ‘위’가 ‘偉 ’로 되어있는 것 이외에는 의미상 차이가 날 정도로 이질적이지 않고 대동소이하다.
《시용향악보》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