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ol] Nuclear Engineering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3-31 07:11
본문
Download : Nuclear Engineering.hwp
• 핵종붕괴의 요동과 방사선계측의 무작위성으로 인해 정상적으로 작동되는 계측기의 경우에도 플레토의 경사율이 5%의 범위를 벗어날 수 있으므로 • -Test를 통해 방사선계측기 동작상태의 정상여부를 판단한다. 일정한 계수치의 곡선을 보이다가 Vb의 전압에 이르면 다시 계수치의 급격한 증가가 관측되는데 이 전압을 GM계측기의 방전전압이라 한다.
• 정상적으로 작동되는 GM계측기는 플레토의 경사율이 일반적으로 5%이내의 값을 보이는데 이러한 범주내에 본 계측기가 해당되는지를 확인한다. 그림(1)에서와 같이 낮은 전압에서는 계수되지 않다가 전압 Vt 에 이르면 계수가 처음 된다된다.• GM계측기의 특징인 플레토(plateau)를 전압과 계수율의 관계로부터 확인하고 플레토를 이용하여 동작전압 결...






Download : Nuclear Engineering.hwp( 42 )
Nuclear Engineering
설명
,공학기술,레포트
1. test(실험) 목적
• GM계측기의 특징인 플레토(plateau)를 전압과 계수율의 관계로부터 확인하고 플레토를 이용하여 동작전압 결정방법을 숙지한다. 즉, 이와같은 Va와 Vb의 구간을 플레토라 칭하며 전압의 變化(변화)에 따른 계수율의 변동이 작기 때문에 안정적인 계수가 가능하다는 측면에서 GM계측기의 advantage…(省略)
레포트/공학기술
1. 實驗(실험)목적
순서
1. 실험목적• GM계측기의 특징인 플레토(plateau)를 전압과 계수율의 관계로부터 확인하고 플레토를 이용하여 동작전압 결... , Nuclear Engineering공학기술레포트 ,
다.
2. theory 적 배경
1) 동작전압
방사선측정(測定) 기의 동작전압을 한번 결정해 놓으면 시료의 측정(測定) 이나 test(실험) 때마다 계측기의 동작전압을 결정해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계측기의 동작전압은 제작회사의 카탈로그나, 동작 메뉴얼 등에 명시되어 있으나, 계측기마다 고유의 property(특성)이 있고 시료의 측정(測定) 시 環境(환경)의 차이, 사용기간의 경과에 따른 성능의 변동 등이 발생하므로 계측기 동작전압의 결정은 정기적으로 필요하며 결과적으로 계측기의 작동상태가 양호한가를 판단할 수도 있다
1) 플레토
GM 계측기에 선원을 놓고 전압에 따른 계수율을 살펴보면 그림(1)과 같은 형태를 보인다. 전압을 상승시키면 계수치가 급격히 증가하게 되는데 어떤 전압 Va 이상이 되면 전압을 상승시키더라도 계수치는 그다지 變化(변화)하지 않고 거의 일정한 값으로 관측된다된다.
• 플레토의 경사율에 대한 정이를 숙지한다. 이 전압값을 발단전압이라 칭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