못다 핀 천재 물리학자, 이휘소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7-01 15:26
본문
Download : 못다 핀 천재 물리학자, 이휘소.hwp
교수님께서 전공과 관련지어 위인을 선택하고 조사하라고 하셨지만 내 전공인 정보디스플레이와 관련이 없어보인다. 1960년대 후반에는 카이랄 대칭과 유동대수 theory 을 통하여 강입자들의 상호작용을 체계적으로 연구하므로써 세계적인 대가가 되었다. 이휘소은 물리학자로 물질 세계를 이루고 있는 궁극적인 물질과 이들 사이에 작용하는 힘이 무엇인가를 탐구하는 소립자 물리학전공으로 나의 전공인 디스플레이와도 아주 깊은 곳에 관련이 있다고 생각된다된다. 이때 이후로 항상 시간이 생기면 이휘소에 대해 자세히 조사해보고 싶었지만 게으른 탓에 하지 않았다.
(2) 참 입자의 탐색
못다 핀 천재 물리학자, 이휘소
레포트 > 자연과학계열
5. 이휘소에 대한 책들
못다 핀 천재 물리학자, 이휘소 못다 핀 천재 물리학자, 이휘소 못다 핀 천재 물리학자, 이휘소 못다 핀 천재 물리학자, 이휘소 목차 1. 이휘소를 선택한 이유 2. 이휘소 그는 누구인가? 3. 이휘소의 업적 (1) 재규격화 이론 (2) 참 입자의 탐색 (3) 핵무기 참여설 (4) 노벨상 후보 4. 이휘소 - 의문의 교통사고 5. 이휘소에 대한 책들 6. 조사를 마치며
6. 조사를 마치며
.
1. 이휘소를 선택한 이유
목차
못다 핀 천재 물리학자, 이휘소
못다 핀 천재 물리학자, 이휘소
순서
이휘소의 타계 후 20년 이상 지난 지금까지도 그는 한국이 배출한 가장 유명한 theory 물리학자로 평가된다된다. 그 후 Princeton의 고등 연구원, Pennsylvania 대학, 뉴욕 주립대(Stony Brook) 교수를 거쳐 1973년 Fermi 국립가속기 연구소의 theory 물리학 부장에 취임하였다.
설명
(1) 재규격화 理論
4. 이휘소 - 의문의 교통사고
때마침 이번 글쓰기 수업에서 ‘자신이 존경하는 위인에 대해 조사하기’ 란 assignment가 있어서 이휘소에 대해 자세히 조사해보려고 한다. 곧 Chicago 대학의 교수도 겸임하였다. 그래서 조사가 더욱 흥미로울것 같다. 소립자 물리학자로서 우수한 논문을 많이 발표했고 연구활동이 절정기에 이르러서 세계의 주목을 크게 받고 있을 때, 1977년 6월 16일 향년 42세로 뜻밖의 교통사고를 당하여 타계하셨다.
내가 고등학교 졸업후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라는 책을 읽었었다.
(3) 핵무기 참여설
다. 하지만 이책에 생전 처음 들어보는 과학자 이름이지만 우리나라에 이런 사람이 있었다는것이 대단하다는 생각도 들었고 ‘이런 인물이 왜 유명해지지 못했을까?’ 라는 생각도 했었다. 미국 이름이 Benjamin W. Lee로 알려진 그는 소립자 물리학의 새로 전개되는 theory 선두에서 고에너지 물리학을 끊임없이 개척해 나아간 세계 정상급의 theory 가였다. 그때 한창 황우석박사에 대한 의혹이 제기되고 있었고 우리나라 과학자로는 황우석밖에 몰랐었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를 읽고쓰기 이휘소에 대한 존경심이 컸다고 생각한다. 이 책을 읽고쓰기나서 이휘소란 인물에 대해 처음으로 접하게 되었다. 1960년대에는 수학의 그룹 theory 이 소립자간의 핵력과 같은 강상호작용 현상연구에 많이 응용되었는데 SU(6) 그룹을 이용하여 양성자, 중성자 같은 핵자의 자기 모먼트 계산으로 입자계의 대칭성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6.25 전쟁이 끝난 직후 1954년 도미하여 1956년 Miami 대학에서 학부를 졸업, 1958년 Pittsburgh 대학에서 석사, 1960년 Pennsylvania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이것은 곧 카이랄 역학으로 이어져 대칭의 자발적
3. 이휘소의 업적
못다 핀 천재 물리학자, 이휘소
(4) 노벨상 후보
못다 핀 천재 물리학자, 이휘소
2. 이휘소 그는 누구인가?
Download : 못다 핀 천재 물리학자, 이휘소.hwp( 45 )





2. 이휘소 그는 누구인가?
못다 핀 천재 물리학자, 이휘소
.
.
못다 핀 천재 물리학자, 이휘소
이휘소(19351977)는 1935년 서울 출생으로 경기 중·고등학교를 거쳐 고교 재학 중 검정고시에 합격, 서울공대 화Engineering과에 입학하였다. 하지만 따지고 보면 관련이 없다고 생각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