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호사설 이익 讀後感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6-24 04:03
본문
Download : 성호사설 이익 독후감.hwp
나는 가장 좋아하는 과목이 무엇이냐는 부모님의 질문에 ‘국사’라고 답한 적도 있다아 허나, 나는 ‘국사’를 어느 정도 이해하고 있었을까. 한국의, 우리나라의 역사(歷史)에 얼마나 이해하고 있었을까. 사건의 나열에 대해, 그것에 따른 교과서가 기술해놓은 ‘定義(정의)’에 대해 한번이라도 의문점을 품은 적이 있을까. 결과적으로, 그 당시에는 밤을 세워가며, 객관식(客觀式), 주관식(主觀式)을 풀고 빨간색 동그라미를 친 후 쾌감을 느낌에도 불구하고, 결국 일회성 지식이 되어버린 것 같다. 그러나 수업 시간에 있었던 ‘일본의 한국 근대화론’등에 대한 토론 등을 통해 나의 뿌리, ‘역사(歷史)’를 바라보는 관점은 우선 나 자신이 한번 해석과 定義(정의)를 내려 본 후에 …(투비컨티뉴드 )
성호사설,이익,독후감,감상서평,레포트
설명
Download : 성호사설 이익 독후감.hwp( 64 )
성호사설 이익 讀後感
레포트/감상서평
성호사설 이익 讀後感
다. 내 스스로, 객관적 사실에 대해 탐구해본 기억이 없다.






성호사설 이익 독후감 , 성호사설 이익 독후감감상서평레포트 , 성호사설 이익 독후감
순서
‘성호사설’ - 이익
독서록
초중고, 12년의 학창시절동안 나는 ‘국사’라는 과목을 통해 역사(歷史)의 기본적인 사실, 아니 역사(歷史)의 열거에 대해 외우고 반복하고 습득했다. 책에 있는 데로, 선생님이 가르쳐 주신 데로, 아니 좀 더 사실적으로 말하자면 외우라고 한 것을 외운 데로, 시험에 응했고, 나름 국사라는 과목에서 만족할 만한 성과를 거둘 수 있었다. 그 이유는 다른 것이 아닌 기본적 ‘탐구 정신’이 부족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어쨌든, 지금이라도 늦게나마 Cause 을 깨달아서 다행인 것 같다.’ 전적으로 동의하는 말이다. ‘늦었다고 느꼈을 때가 가장 빠른 때이다. 한국 교육의 문제점(問題點) 중 가장 큰 문제라고 항상 지적되는 ‘주입식 교육’에 있어 나는 자유롭지 못 했다. 나는 역사(歷史)를 배울 때, 주로 누군가가 채색을 가한, 옷을 입힌, 역사(歷史)의 定義(정의)를 주로 탐구했다. 학창시절 높은 성적을 위해 투구했던 시간이 조금은 아쉽다는 생각이 들지만, ‘빠름’과 ‘늦음’은 어짜피 상대적이지 않겠는가.
반면, 현재 수강하고 있는 ‘한국 경제사’는 나의 국가, 한국의 역사(歷史)를 찾아가고, 느끼는데 있어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아 그 일환으로 나에게 주어진 해결해야할문제는 이익의 ‘성호사설’을 읽고나서 독서록 을 쓰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