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공리주의란 무엇인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8-29 15:12
본문
Download : 행위공리주의란 무엇인가.hwp
.




행위공리주의란 무엇인가
영국 철학사에서 공리주의적 철학을 가진 최초의 인물로 17세기 도덕철학자 리처드 컴벌런드 주교를 꼽는 歷史가도 있다아 컴벌런드보다 한 세대 뒤에 영국의 프랜시스 허치슨은 도덕감 개념을 바탕으로 하여 보다 분명한 형태로 공리주의적 견해를 주장했다. 스코틀랜드의 저명한 철학자이자 歷史가인 회의론자 데이비드 흄은 덕(德)의 기원을 공리의 관점에서 분석하기도 했다.
행위공리주의란 무엇인가
순서
행위의 기준을 ‘최대다수의 최대행복’, 즉 사회의 최대다수 구성원의 최대한의 행복을 구하는 윤리 ·정치관으로서 주로 19세기 영국에서 유행한 윤리로서, 정치학설에서 공중적 쾌락주의(universalistic)와 같은 뜻이다. 벤담은 18세기 여러 사상가의 저술에서 유용성의 원리를 발견해냈다고 말했는데, 여기에는 흄 이외에도 산소를 발견한 것으로 유명한 영국의 화학자이자 신학자 조지프 프리스틀리, 프랑스 감각철학의 권위자 클로드 아드리앵 엘베시우스, 이탈리아의 법 이론(理論)가
설명
행위공리주의란 무엇인가
행위공리주의란 무엇인가 행위공리주의란 무엇인가 행위공리주의란 무엇인가 행위공리주의란 무엇인가 행위공리주의란 무엇인가
한편, 공리주의적 사상은 벤담보다 훨씬 이전의 사상 속에도 있다아 人生(life)의 가치에 관한 쾌락주의적 이론(理論)은 BC 5세기초 키레네 학파의 창시자 아리스티포스의 윤리학과 그후 약 100년 뒤에 나온 에피쿠로스와 그 추종자들의 금욕주의 윤리설 등에 나타나 있다아 한편 스토아학파와 그리스도교의 윤리설 속에는 이와 대립하는 윤리적 보편주의의 씨앗이 있다아
행위공리주의란 무엇인가
행위공리주의란 무엇인가
.
행위공리주의란 무엇인가
공리주의에 대한 또다른 반박은 고통을 막고 제거하는 일이 이미 행복한 사람의 행복을 증진시킬 뿐인 어떤 대안적 행위보다 우선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Download : 행위공리주의란 무엇인가.hwp( 22 )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
이러한 공리주의에 반대하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공리주의가 우리의 도덕적 직관과 어긋나는 내용을 함축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낳는 행위가 최선이라는 주장을 내세웠을 뿐만 아니라, 최선의 결과를 계산하기 위한 도덕 산술의 형식을 제시했다. 목적론적 윤리의 한 형태이지만, 이기적이 아니라 보편적이며, 또 내면적 윤리에 대하여 사회적 ·외면적 도덕의 경향을 나타낸다. 밀은 때로 규칙 공리주의자로 해석되기도 했고, 벤담과 시지윅은 행위 공리주의자였다. 몇몇 공리주의자는 이 반론을 해결하기 위해 공리주의 이론(理論)을 수정했다. 예컨대 유용성의 관점은 약속을 어기는 행위를 장려할 수도 있다고 비판했다.
행위공리주의란 무엇인가
행위공리주의란 무엇인가
수정된 공리주의가 규칙 공리주의이다. 공리주의 윤리설을 방어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의문에 답해야 했는데, 그것은 공리주의가 그러한 함축을 갖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거나 반대자들이 주장하는 도덕적 직관 개념을 논박함으로써 이루어졌다.
다. 최근의 몇몇 공리주의자는 이 점을 고려하여 수정된 공리주의 이론(理論)을 내놓았는데, 이를 소극적 공리주의라고 한다. 이에 따르면 특정 경우에 특정 행위의 옳고 그름은 그 행위가 유용한 규칙을 따른 것인지 아니면, 어긴 것인지로 판단할 수 있다아 여기서 규칙이 유용한지 아닌지는 일반적 실천의 결과로 평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