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버스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4-17 14:15
본문
Download : 중앙버스.hwp
또한 비가 온 후에 붉은색 아스팔트가 많이 벗겨진 것을 볼 수도 있었다.(경기도에 살기 때문에, 버스중앙차선은 잘 이용을 안하게 되더라구요.-_-;) 대신 요금체재 개편은 나에게 크게 부담이 되었다.
그리고 1차선에 중앙버스 차선이 생기다 보니깐 그동안 좌회전이나 U턴을 하던 사람들은 2차로나 이용을 할 수 없게 되어서 오히려 큰 불편을 꺾고 있다 U턴 같은 경우는, 아예 할 수가 없기 때문에 P턴을 해야 되기 때문에 시간이 더욱더 걸리게 될것이다.
중앙버스에 대한 글입니다. 그렇다고 서울시가 내놓은 지하철정기권은 서울시에서만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이용할 수도 없는 처지였다. 오히려 낭비라고 생각된다된다.중앙버스에 대한 글입니다.중앙버스 , 중앙버스기타레포트 ,
중앙버스
Download : 중앙버스.hwp( 53 )
중앙버스
,기타,레포트
순서
설명
■ 서론
● 시행 배경
● 정의(定義)
■ 본론
● 버스중앙 차선의 長點
● 버스중앙 차선의 단점
■ 결론
● 기대 效果
● 보완 대책
● 개인적 견해
● 참고data(資料)
● 개인적 견해
이번 레포트(report) 를 통해서, 그동안 알고 있던 버스중앙차선에 상대하여 더 자세히 알게 되었다.
첫날에 시행된 후, 미디어에서 중앙버스 노선 이용 장면을 보여줬는데 정말 장난이 아니었다. 진짜 장거리를 이용하는 사람들에게는 부담이 아닐수 없다. 그래서 어쩔수 없이 일부러 중간에 한번 내려서 환승요금을 혜택받기 위해서 학교에 온적도 비일비재하다.일단 버스중앙차선은 나에게 피부로는 직접 와 닿지는 않는다. 1학기때 까지만 해도 지하철 요금이 1000원(송정~화서역)이었는데, 갑자기 1300원(그나마 카드를 이용해서)으로 올랐다. 그러기에는 시간이 너무 걸린다.
위에 썼던 내용들은 그동안 나왔던 기사들을 많이 이용했지만, 나의 opinion(의견)들도 많이 적었다.
위에서는 단점으로 안 적었지만, 언론을 통해서 보면 버스전용 차선을 붉은색 아스팔트로 원래의 아스팔트를 벗겨내고 해서 구별이 쉽게 가기는 했지만, 굳이 원래의 아스팔트를 벗겨낸 후 할 필요가 있는지 이해가 안 간다. 특히 강남대로 모습을 보여줬는데, 무슨 버스가 마치 지하철처럼 줄줄이 연결된 것을 보았다. 그래서 그 이후로 간선버스는 외곽 차선을 이용해서 그나마 좀 낳아졌지만 여전히 drawback(걸점)으로 남아 있다 또한 수색방향과 성산대교 방향에서 오는 차량들이 만나는 모래내 고가는 갑자기…(省略)
레포트/기타






다. 오히려 비용이 더 들지 않을까 생각된다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