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정치사회연구에 있어서 혼합체계분석안의 적실성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3-30 14:42
본문
Download : 비교정치사회연구에 있어서 혼합체계분석안의 적실성.hwp
즉, 그는 “[인과]관계의 추적에 있어서 필요조건이 되는 공변의 논리”는 연구대상현상이 “동일한 analysis(분석) 수준, 혹은 상이한 analysis(분석) 수준에서 측정(測定) 되어야만 한다는 어떤 전제조건도 상정하지 않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그는 곧 뒤이어 “셰보르스키와 튜니는 서로 다른 수준에서 측정(測定) 된 변인들을 사용하고 있으나, 그러한 방식이 동일한 수준에서 측정(測定) 된 변인들을 사용한 공변추적방식보다 더 정확한 방식이라고는 말할 수 없다”(Frendreis 1983, 264)고 덧붙임으로써 동일 수준에서의 측정(測定) 이 문제를 야기시킬 가능성이 적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
프렌드라이즈의 말처럼 특정한 공변양상의 확보를 통한 인과추론이 특정한 analysis(분석) (측정(測定) )의 수준을 전제로 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물론 최대유사체계analysis(분석) 안이나 최대상이체계analysis(분석) 안도 마찬가지의 결점을 안고 있다 즉, 비록 모든 독립변인들의 측정(測定) 수준이 동일하기 때문에 독립변인들간의 상호관계에 있어서는 그다지 큰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해도, 독립변인과 종속변인간의 측정(測定) 수준이 상이할 경우에…(drop)
비교정치사회연구에 있어서 혼합체계분석안의 적실성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순서
다. 따라서 프렌드라이즈는 상이체계analysis(분석) 안(또한 유사체계analysis(분석) 안)을 단순한 공변추적방식으로 오해하고 있다고 여겨진다. 즉, 그는 “[인과]관계의 추적에 있어서 필요조건이 되는 공변의 논리”는...
Download : 비교정치사회연구에 있어서 혼합체계분석안의 적실성.hwp( 11 )
프렌드라이즈 역시 이 문제를 이미 인지하고 있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셰보르스키와 튜니가 analysis(분석) 의 수준을 거론한 이유는 공변의 추적이라는 방법론적·기법적 측면이 아니라 이론(理論)적 측면에 놓여져 있다는 점을 다시 한 번 강조할 필요가 있다 즉, 상이체계analysis(분석) 안에서의 “다른 수준의 측정(測定) ”은 유사체계analysis(분석) 안의 독립변인 상정 방식이 지니는 이론(理論)적(존재론적) 경직성 이른바 “체계변인의 足鎖”. 김웅진 (1986), 앞의 글, 176-79 참조.을 극복한다는 측면에서 제시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여기에서 “다른 수준”이란 동일한 모형 내에 포함된 독립변인들의 측정(測定) 수준이 서로 다르다는 의미가 아니라, 일단 동일한 수준(예로서 개인의 수준)에서 상정된 모든 독립변인들의 측정(測定) 수준을 가설검증 결과에 따라 동시에 상향 조정한다는 뜻이다. 즉, 그는 “[인과]관계의 추적에 있어서 필요조건이 되는 공변의 논리”는... , 비교정치사회연구에 있어서 혼합체계분석안의 적실성인문사회레포트 ,
,인문사회,레포트
프렌드라이즈 역시 이 문제를 이미 인지하고 있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프렌드라이즈 역시 이 문제를 이미 인지하고 있었던 것으로 여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