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실천의 기초기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3-01 12:10
본문
Download :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실천의 기초.hwp
여기에 다양한 요인이 작용하겠지만 첫 면담을 충분히, 효율적으로 준비하지 못한 것이 그 한 요인이다.
1. 면담 준비단계의 기술 1) 면담 준비단계의 의의와 과제 2) 면담 준비의 방법 3) 면담 준비기술 2. 면담 시작기술 1) 첫 면담에 대한 불안 2) 면담의 시작 3) 면담 관련 염두사항 3. 기초기술 1) 의사소통기술 2) 언어적․비언어적 의사소통 3) 질문기술 4) 라포형성과 관계형성기술 5) 공감 및 동정 6) 경청기술 7) 명료화 기술 8) 언어의 재구성 9) 요약기술 10) 침묵의 활용 11) 부연설명기술 12) 피드백 주고받기 13) 초정유지 및 탐색기술 14) 계약기술 참고문헌
② 클라이언트와 관계하는 중요한 타인들의 욕구와 기대
설명
3) 면담 관련 염두사항
3. 기초기술
1) 의사소통기술
12) 피드백 주고받기
Download :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실천의 기초.hwp( 22 )
2) 언어적․비언어적 의사소통
면담과정이 반드시 준비된 대로 진행되는 것은 아니므로 개방적이면서 유연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따
14) 계약기술
⑤ 클라이언트 개인 혹은 집단과 관계하고 있는 타 전문가
13) 초정유지 및 탐색기술
6) 경청기술
순서
8) 언어의 재구성
② 면담 점검표 작성(참고자료: pp.75-77 참조)
① 반영적 접근법(reflective approach)
1) 면담 준비단계의 의의와 과제課題
Sue(1977)의 연구에 의하면(17개 정신건강센터에서 서비스를 박은 약 14,000명에 대한 조사 연구), 소수인종에 속한 정신건강 서비스 신청자의 약 50%가 첫 방문 이후 클라이언트로 전환되지 않았으며 백인 클라이언트보다 중도 탈락률이 상당히 높았다.
④ 기관의 정책과 절차, 실천지침, 자원, 기관을 대표하는 사람으로서의 자격요건
1. 면담 준비단계의 기술
① 도움을 요청하는 클라이언트 개인 혹은 집단의 욕구와 기대
Trevithick(2000)은 면담 계획 및 준비는 매우 중요한 과제課題로서 다음과 같은 욕구와 기대를 고려하여 준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하였다. 이 단계는 社會福祉士와 클라이언트가 만나기 전에 社會福祉士 입장에서 클라이언트가 社會福祉士를 만나러 오면서 갖게 되는 생각, 감정을 미리 헤아려서 가급적이면 클라이언트의 상황에 社會福祉士 자신을 맞추려는 준비활동이 일어나는 단계를 의미한다.
사회복지실천의 기초기술
9) 요약기술
4) 라포형성과 관계형성기술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실천의 기초기술
3) 면담 준비기술
이들 두 가지 방법 모두 활용이 가능하지만 社會福祉士는 면담을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최근에 진행되었던 사례일지나 최근사건, 사건과 관여된 사람들 등에 대해 숙지하고 면담에 임해야 할 것이다 특히 社會福祉士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사람들은 전문가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이나 불안감을 가질 수 있으므로 클라이언트가 요청하는 도움과 문제의 근본이 무엇인지를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실천기술이다.
사회복지실천론,사회복지실천의 기초기술
면담 준비단계는 사회복지실천에 효율를 향상시키는 초석을 놓는 것과 같다.
5) 공감 및 동정
2) 면담 준비의 방법
다.
2. 면담 스타트기술
참고한 문헌
7) 명료화 기술
11) 부연설명(explanation)기술
2) 면담의 스타트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1) 첫 면담에 대한 불안
1. 면담 준비단계의 기술
③ 실무자로서 社會福祉士가 바라는 개인적인 기대와 전문적인 기대
1) 면담 준비단계의 의의와 처리해야할문제
2) 면담 준비의 방법
10) 침묵의 활용
3) 질문기술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실천의 기초-8171_05_.jpg](/prev/201206/%5B%EC%82%AC%ED%9A%8C%EB%B3%B5%EC%A7%80%EC%8B%A4%EC%B2%9C%EB%A1%A0%5D%20%EC%82%AC%ED%9A%8C%EB%B3%B5%EC%A7%80%EC%8B%A4%EC%B2%9C%EC%9D%98%20%EA%B8%B0%EC%B4%88-8171_01_.jpg../prev/201206/%5B%EC%82%AC%ED%9A%8C%EB%B3%B5%EC%A7%80%EC%8B%A4%EC%B2%9C%EB%A1%A0%5D%20%EC%82%AC%ED%9A%8C%EB%B3%B5%EC%A7%80%EC%8B%A4%EC%B2%9C%EC%9D%98%20%EA%B8%B0%EC%B4%88-8171_02_.jpg../prev/201206/%5B%EC%82%AC%ED%9A%8C%EB%B3%B5%EC%A7%80%EC%8B%A4%EC%B2%9C%EB%A1%A0%5D%20%EC%82%AC%ED%9A%8C%EB%B3%B5%EC%A7%80%EC%8B%A4%EC%B2%9C%EC%9D%98%20%EA%B8%B0%EC%B4%88-8171_03_.jpg../prev/201206/%5B%EC%82%AC%ED%9A%8C%EB%B3%B5%EC%A7%80%EC%8B%A4%EC%B2%9C%EB%A1%A0%5D%20%EC%82%AC%ED%9A%8C%EB%B3%B5%EC%A7%80%EC%8B%A4%EC%B2%9C%EC%9D%98%20%EA%B8%B0%EC%B4%88-8171_04_.jpg../prev/201206/%5B%EC%82%AC%ED%9A%8C%EB%B3%B5%EC%A7%80%EC%8B%A4%EC%B2%9C%EB%A1%A0%5D%20%EC%82%AC%ED%9A%8C%EB%B3%B5%EC%A7%80%EC%8B%A4%EC%B2%9C%EC%9D%98%20%EA%B8%B0%EC%B4%88-8171_05_.jpg)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은 체계적이지 못하지만 공감적이면서 직관적인 방법을 활용하는 것이다 면담에 응하는 사람의 사고, 감정, 공포감, 기대, 공상 등을 통해 타인의 내면적 세계를 상상해서 들여다보는 방법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