앤 스태니체프스키의 이것은 미술이 아닐것이다.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9-25 13:39
본문
Download : 앤 스태니체프스키의 이것은 미술이 아니다.hwp
앤 스태니체프스키의 이것은 미술이 아니다라는 책을 읽고 진정한 예술품에 대해서 생각해 보았습니다. 근대이전, 우리가 미술로 등재시킨 유수한 유적은 우리의 culture속에 차용되어, 미술로 변형된 것이라고 한다. 입장료를 지불하고 입장했어도 진열품들은 소위 대한민국의 國寶이기 때문에 유리관 속에 모셔져있고, 감시 카메라와 감시원…(To be continued )
다. 다시 말해서 `믿는대로 보게된다 Believing is Seeing.`라는 逆등식은 우리가 사물을 본다는 것은 오히려 우리가 무엇을 알거나 믿고 있는가 하는 것에 influence을 받는다는 것의 역설적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원제인 `Believing is Seeing`은 인간의 시각이 선택될 수 있으며, 그 선택 여하에 따라, 보는 것의 인식 범주안에 포함되기도 하고 안되기도 한다는 것. 저자는 미술을 근대시기의 `발명품`으로 규정한다.
앤 스태니체프스키(Mary Anne Staniszewski)의 95년 저서 『 이것은 미술이 아니다.hwp( 92 )
,예체능,레포트





이것은미술이아닐것이다. 라는 책을 읽고쓰기 진정한 예술품에 상대하여 생각해 보았습니다. 요점하면 저자의 입장은 미술이란 최근의 현상으로, 미술관과 박물관이라는 문맥속에서 그리고 대중 매체속에 복제품을 통해, 제시된 것들이다. 아무리 작가가 작품을 제작해도 소용없다. 그것이 제도(화랑, 미술관, 출판물등.)의 순환을 거쳐야만 `의미`와 `권력`으로 공인되는 것이다.
레포트/예체능
순서
설명
앤 스태니체프스키의 이것은 미술이 아닐것이다. 제도는 사물들에게 그 경계와 관행을 설정해 준다.이것은미술이아니다 , 앤 스태니체프스키의 이것은 미술이 아니다예체능레포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