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체역학] 유체역학_스프링쿨러_설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5-02 08:04
본문
Download : 유체역학_스프링쿨러_설계.hwp
11월 20일
노즐에서 나오는 물이 반경 m를 날아가게 하기위해서 물을 하나의 질점으로 놓고 해석 (가정. 공기저항 무시)
유체, 역학, 스프링, 쿨러, 스프링쿨러, 설계
설명
점성에 의한 마찰효과는 무시할 수 있다아
시행착오적 반복 적용하여 적절한 설계 결정.
내용
반지름 15m의 구역에 시간당 2cm의 물을 가능한 한 균일하게 살포한다. 2. 회 의 록
위 식⑤에 거리 S값과 높이 h값, 값을 대입함으로써 절대속도 를 구할 수 있다아
노즐의 외형을 어떻게 정할지 토의를 하고 각자 意見(의견)을 냄.
운동량모멘트 방정식 적용.
=
7. 결 과
회전부와 고government 사이의 마찰은 고려해야 한다.
Download : 유체역학_스프링쿨러_설계.hwp( 58 )
주제
레포트 > 공학,기술계열
결론
날짜
3. opinion 종합 및 가정
2cm/hr란 무슨 조건일까에 대해 생각해봄.
결론
결국 각 노즐의 상대속도(W)는 같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즉, 단면적(A)를 다르게 설정 하였으므로 각 노즐의 유량이 다르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출구 노즐의 유량을 구하기로 함.
따라서 노즐의 유량은 이다.
스프링 쿨러의 외형을 정함.
4. 스프링클러 조사
날짜
내용
날짜
날짜
1. 설계 사항
11월 23일
회전자의 길이, 노즐의 크기, 개수, 위치.
공급되는 물의 수압은 350kPa(계기압력)이다.
주제
주제
2. 회의록
주어진 조건에 대한 고찰
결론
1. 설계 사항
결론
意見(의견)을 종합해서 노즐관은 2개로 정하고 각 노즐을 3개씩 뚫기로 함.
11월 19일
11월 18일
즉, 시간당 반경15m의 면적에 2cm의 물이 쌓인다고 생각.
순서
포물선 formula(공식)에 의해서 를 구한다.
내용
주어진 조건 2cm/hr로 입구 유량을 알수 있고 노즐의 총 개수는 6개 이므로 노즐관의 반쪽만을 고려했을 경우 출구 노즐의 유량은 입구 유량의 반과 같다.
시중에서 판매되는 스프링클러에 관한 자료(資料) 수집.
∴
설계제한요소
잔디밭 살수용 스프링클러 설계
노즐의 각도와 단면적을 조절하여 주어진 범위내에 물을 분사.
요약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온다.
설계題目(제목)





날짜
내용
베르누이 방정식의 유도 결과, 가 1~6으로 변할 때의 출구 속도(=상대속도 )가 모두 같은 결과로 나오게 됨을 알 수 있었다.
6. 설계 도면
베르누이 방정식의 적용
면적 단위시간당 쌓이는 물의 높이 = 단위 시간당 유량
결론
마찰토크 평가, 회전속도 평가, 살포범위 평가.
또한 노즐의 유량을 다르다고 하고 면적A를 통하여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고 가정했다.
연속 방정식에 의해 20일자 회의록 내용인 반쪽 노즐관에의한 유량은 임을 알 수 있었다.
유체가 정해진 영역에 도달하려면?
5. 계 산 식
1. 설계 사항 2. 회 의 록 3. 의견 종합 및 가정 4. 스프링클러 조사 5. 계 산 식 6. 설계 도면 7. 결 과
주제
내용
유량 formula(공식)을 이용해 유량을 구하기로 함.
주제
11월 21일
설계세부내용
설계도구
[유체역학] 유체역학_스프링쿨러_설계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