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w.kr [독후감,report] [서평] E.H.카 ‘역싸란 무엇인가’ 서평 > cow1 | cow.kr report

[독후감,report] [서평] E.H.카 ‘역싸란 무엇인가’ 서평 > cow1

본문 바로가기

cow1


[[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


[독후감,report] [서평] E.H.카 ‘역싸란 무엇인가’ 서평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2-15 17:37

본문




Download : [독후감,감상문] [서평] E.H.카 `역사란 무엇인가` 서평.hwp





주요 저서로는《칼 마르크스 Karl Marx》(1934),《위기의 20년 Twenty Years` Crisis》(1939), 《서구세계에서의 소비에트의 충격 The Soviet Impact on the Western World》(1947), 《볼셰비키 혁명 The Bolshevik Revolution》(1958), 《歷史란 무엇인가》(1961), 《소련사 History of Soviet Russia》등이 있다
이 저서들 중 특히 1961년에 케임브리지 대학에서 歷史를 주제로 한 대중 강연과 방송 원고를 묶어 만든 책,《歷史란 무엇인가》는 카의 명성을 전 세계적으로 떨치게 하는 결정적 계기가 되었다.
카의 책이 비단 歷史학계에만 influence을 미친 것은 아니었다.
주요 저서로는《칼 마르크스 Karl Marx》(1934),《위기의 20년 Twenty Years` Crisis》(1939), 《서구세계에서의 소비에트의 충격 The Soviet Impact on the Western World》(1947), 《볼셰비키 혁명 The Bolshevik Revolution》(1958), 《歷史란 무엇인가》(1961), 《소련사 History of Soviet Russia》등이 있다
이...

E.H.카 ‘歷史란 무엇인가’ 서평

먼저 저자인 E. H. 카와 책(제1판)에 대해 紹介(소개)를 하자면, ‘E. H. 카, (Carr, Edward Hallett, 1892.6.28~1982.11.3), 1892년 런던 출생. 케임브리지 대학 트리니티 칼리지를 졸업하고, 외무부에서 일하다가 《더 타임스》의 논설위원. 옥스퍼드대학 베일리얼 칼리지 정치학 튜터(Tutor)를 거쳐 케임브리지 대학 트리니티 칼리지 펠로우, 옥스퍼드 대학 베일리얼 칼리지 명예연구원을 지냈다.
이 책에서 내비친 카의 歷史관은 ‘歷史는 歷史가가 몸담고 있는 사회와 시대를 반영하는 것으로, 歷史 해석은 불변의 객관적 사실을 밝히는 것이 아니라 歷史가가 그 사실을 어떻게 수용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歷史는 현재와 과거의 끊임없는 대화’, ‘천재나 영웅이 아닌, 사회와 시대를 통해 歷史…(省略)




[독후감,감상문],[서평],E,H,카,‘역사란,무엇인가’,서평,감상서평,레포트

다.
[독후감,report] [서평] E.H.카 ‘역싸란 무엇인가’ 서평


[독후감,감상문] [서평] E.H.카 ‘역사란 무엇인가’ 서평 , [독후감,감상문] [서평] E.H.카 ‘역사란 무엇인가’ 서평감상서평레포트 , [독후감 감상문] [서평] E H 카 ‘역사란 무엇인가’ 서평


설명
[독후감,report] [서평] E.H.카 ‘역싸란 무엇인가’ 서평

Download : [독후감,감상문] [서평] E.H.카 `역사란 무엇인가` 서평.hwp( 17 )










레포트/감상서평

순서
E.H.카 ‘歷史란 무엇인가 서평

먼저 저자인 E. H. 카와 책(제1판)에 대해 紹介(소개)를 하자면, ‘E. H. 카, (Carr, Edward Hallett, 1892.6.28~1982.11.3), 1892년 런던 출생. 케임브리지 대학 트리니티 칼리지를 졸업하고, 외무부에서 일하다가 《더 타임스》의 논설위원. 옥스퍼드대학 베일리얼 칼리지 정치학 튜터(Tutor)를 거쳐 케임브리지 대학 트리니티 칼리지 펠로우, 옥스퍼드 대학 베일리얼 칼리지 명예연구원을 지냈다.’라고 요약할 수 있다
이러한 歷史관을 바탕으로 카는 프랑스 혁명 이후의 세계사를 이성을 통한 진보의 과정으로 파악했는데, 이는 전 세계 歷史학계뿐만 아니라 국내 歷史학계에도 적지 않은 influence을 미쳤다. 분단 이후 국내 사학계를 지배하고 있던 실증사학에 대한 회의와 비판이 본격적으로 제기되면서 민중사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계기가 된 것이다.
Total 18,006건 1 페이지

검색

REPORT 74(sv75)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cow.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

[저작권이나 명예훼손 또는 권리를 침해했다면 이메일 admin@hong.kr 로 연락주시면 확인후 바로 처리해 드리겠습니다.]
If you have violated copyright, defamation, of rights, please contact us by email at [ admin@hong.kr ] and we will take care of it immediately after confirmation.
Copyright © cow.k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