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모곡 - 원문 및 어구해석 형식적 특징 논의의 쟁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5-27 07:47
본문
Download : 사모곡 - 원문 및 어구해석 형식적.hwp
그런데 <사모곡>은 가요로서 단련으로 되었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별곡적 형태와는 다른 단연의 6행시 노래로서, 3단 짜임에다 종결구에 차사를 둔 신라 향가의 시형을 유지하고 있다아 최철․박재민, 『석주 고려가요』, 이회문화사, 2003, p.333.
Download : 사모곡 - 원문 및 어구해석 형식적.hwp( 98 )
사모곡 - 원문 및 어구해석 형식적 특징 논의의 쟁점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
사모곡 - 원문 및 어구해석 형식적 특징 논의의 쟁점 사모곡 - 원문 및 어구해석 형식적 특징 논의의 쟁점
.
농민들이 일상생활에서 흔히 사용하는 낫과 호미를 소재로 사용해 어머니의 사랑 혹은 이에 대비해 나타나는 아버지에 대한 원망의 정서를 나타내며 그 소재로 인해 농민들의 소박한 생활감정을 잘 나타낸 작품이라 할 수 있다아
설명
또한 고려가요는 그 창작 및 전승의 담당층에 따라 민요, 궁중무악 및 개인 창작곡의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을 텐데 <사모곡>은 당시 주류를 이루고 있던 민요이며, 김명호, 「고려가요의 전반적 성격」,김학성․권두환 편, 『고전시가론』, 새문사, 1984, p.27.
<사모곡>은『악장가사』와 『악학편고』에 그 노래말만 전하고『시용향악보』와 『금합자보』에는 노랫말과 함께 악보도 기록되어 있다아 또한 『시용향악보』에는 ‘俗稱엇노○界面調’라 부기하여 싣고 있다아
사모곡 - 원문 및 어구해석 형식적 특징 논의의 쟁점
사모곡 - 원문 및 어구해석 형식적 특징 논의의 쟁점
순서
이에 <사모곡> 역시 이 노래의 바탕이 되는 설
이는 이른바 전별곡적 형태이며 전후절로 양분되는 요소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향가와 맥락이 닿는 작품이다.사모곡 - 원문 및 어구해석 형식적 특징 논의의 쟁점
사모곡 - 원문 및 어구해석 형식적 특징 논의의 쟁점
고려가요의 형태는 흔히 ‘청산별곡류’와 ‘한림별곡류’의 양대 가요군으로 구분하여 았다. 백영 정병욱 선생 10주기추모론기념논문집 『한국고전시가작품론 1』, 집문당, 1992, p.320.
.





다. 백영 정병욱 선생 10주기추모론기념논문집 『한국고전시가작품론 1』, 집문당, 1992, p.229
한편, 고려가요는 창작과 관련된 설화를 갖고 있는데, <사모곡>은 그 명칭이나 배경설화가 고려사나 그 밖의 다른 문헌에는 나타나지 않는다.